컨설팅
건별협의
STEP.1 기업 현황 분석
■ 초기 회의를 진행하면서 중대재해컨설팅의 목적과 범위, 주요일정, 참여자의 역할과 책임을 분담하여 프로젝트의 목표와 방향성 제시
■ 기업자료, 위험요인 보유 현황, 공정도 및 공정별 작업 방법에 관한 자율 체크 리스트(중대재해법 관련)를 제공을 통한 내부 현황 분석
■ 사업장 유해 위험요인 조사 및 기업 내부 담당자와의 협의를 통해 안전보건관리체계 관련 문서 작성 방향성 확보
STEP.2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요소별 문제점 도출
■ 요소별(경영자의 리더십, 근로자 참여, 위험요인 파악, 위험요인 제거 대체 및 통제, 비상조치계획 수립, 도급용역 위탁 시 안전보건 확보) 진단 리스트 기반 분석 결과 도출을 통해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요소별 문제점 도출
· 자가 진단 리스트 및 현장 평가를 통해 안전관리 현황 및 이행 상태를 통해 각 요소별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시행규칙 이행여부 파악
· 기업 실사를 병행해 현장 안전 수준 파악을 위한 산업안전보건기준 규칙 준수 여부, 위험요인 및 법규 위반·지적 사항 파악
■ 안전보건관리 체계 가이드 확립
· 앞서 진행된 구축 요소별 문제점 도출을 통해 안전보건관리시스템 개선안 및 실행 전략을 제시
· 문서관리 및 운영상태 개선안 제시
· 위험성평가, 작업 시작 전 점검 등 서류 보완사항 제시
· 또한 현장 안전관리 현황에 따른 체계적으로 중대재해처벌법을 대비
STEP.3 중대재해처벌법 대응 매뉴얼 구축
■ 법적 요구 사항 파악
■ 내부 절차 및 정책 개발
■ 조직 구조 및 역할 분담
■ 위기 대응 및 대응 계획 수립
■ 각 요소별 지침서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