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설팅
건별협의
[컨설팅 목적]
제조현장의 SMART FACTORY 운영을 위하여 제조현장의 현수준을 파악하고 실행 가능한 수준의 실행 개선전략 및 세부 실행(안)을 도출하여 제조현장에 내재화 함.
[컨설팅 방향]
스마트공장 실용화 및 비활성화의 근본원인을 제조경영 프로세스 관점, 제조현장 운영수준 관점, 사용 시스템 관점, 구성원 역량 관점, 경영자 관점과 스마트 팩토리 제조운영을 위한 아키텍쳐 관점의 IT/OT 영역을 진단 분석하여 활성화하기 위한 CSF(Critical Success Factor)와 KSF(Key Sueccess Factor)를 도출하여 해결하기 하위 위한 시스템, 프로세스, 제조현장관점의 구체적이고 실행가능한 해결방안을 제시하여 실질적 스마트제조혁신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실질적인 효과 창출을 위하여 초기에 현수준(AS IS)과 개선목표(TO BE)를 구체화(성과지표(KPI))하여 과제 종료시까지 목표달성을 위한 진도관리를 병행하여 운영한다.
[컨설팅 방향 및 절차]
1. 스마트 공장 진단 : 현 수준 및 문제점 도출
1) 스마트공장 운영 시스템 분석 : S-PMS(Smart-Production Management System)
2) 스마트 혁신을 위한 제조현장 세부분석 : S-TPS(Smart-Total ProductIon System)
2. 원인분석
1) 스마트 팩토리 IT(Information Technology)/OT(Operation Technology)
전략, 기업자원관리, 제조실행시스템, 생산제어시스템, 설비제어시스템)
영역별 단계별 비활성화 원인분석
2) 제조현장 진단 TOOL을 활용하여 심층현장 원인분석
3. CSF(Critical Success Factor) 도출 및 개선방안 및 전략수립
1) 실용화 및 활성화를 위한 우선순위 및 중요도 평가
2) 스마트 제조운영 아키텍쳐 설계
3) 스마트 혁신을 위한 S/W, H/W 아키텍쳐 설계
4. CSF별 세부 개선 실행(안) 도출/설계/적용
- 표준 업무프로세스 구축(기준정보관리, 영업관리, 생산관리, 구매관리, 자재관리, 품질관리)
- 업무단위별 관리 Format 설계 및 현장 적용
- 유지관리를 위한 보고체계 및 KPI 관리체계 구축 및 운영
5. 단계별 전략적 추진 Road Map 설계
6. SMART FACTORY 활성화 실행전략 수립
[컨설팅 TOOL]
1. 스마트공장 운영 시스템 평가
1) 리더십 & 전략 4개 영역 2) 제품개발 6개 영역
3) 생산계획 4개 영역 4) 공정관리 3개 여역
5) 품질관리 4개 영역 6) 설비관리 4개 영역
7) 물류운영 6개 영역 8) 주요 정보시스템 5개 영역
9) 설비자동화 5개 영역 10) 핵심성과 6개 영역
2.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현장 진단 모델
1) 표준관리 3개 영역 2) 자재관리 4개 영역
3) 설비, 계측기관리 3개 영역 4) 생산/공정관리 4개 영역
5) 출하관리 3개 영역 6) 품질관리 6개 영역
7) 개발 및 제조경영관리 3개 영역